본문 바로가기

법률정보

가족관계등록부 발급법 | 인터넷과 오프라인 신청 방법 정리

반응형

가족관계등록부 발급법 | 인터넷과 오프라인 신청 방법 정리

가족관계등록부는 본인의 가족관계, 출생, 혼인, 사망 등의 법적 신분 관계를 증명하는 공문서로, 가족관계증명서·기본증명서·혼인관계증명서 등으로 세분화되어 발급됩니다. 관공서 제출, 비자 발급, 상속 관련 업무 등 다양한 법적 행위에 필요한 핵심 서류입니다.


1. 발급 가능한 가족관계등록부 종류

서류명 주요 내용
가족관계증명서 부모, 배우자, 자녀 등 가족관계 전체 명시
기본증명서 출생, 사망, 개명 등 본인의 신분사항
혼인관계증명서 혼인/이혼 여부 및 배우자 정보
입양관계증명서 입양 및 파양 정보
친양자입양관계증명서 친양자 입양 시 발급되는 특수 서류

✅ 용도에 따라 다르게 요구되므로 발급 전 제출기관 요구서류 확인 필요


2. 온라인 발급 방법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1. www.egov.go.kr 또는 efamily.scourt.go.kr 접속
  2.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로그인
  3. 발급 종류 선택 → 본인 또는 가족 선택
  4. 수수료 결제 후 PDF 파일 즉시 발급

✅ 프린터 출력 또는 PDF 저장 가능, 일부 기관은 실물 제출 요구 시 ‘방문 발급’ 필요


3. 오프라인 발급 방법 (주민센터 방문)

  • 가까운 동주민센터 또는 시·군·구청 민원실 방문
  • 신분증 지참 (본인 또는 가족 대리 신청 시 위임장 필요)
  • 수수료: 건당 1,000원 내외

✅ 직접 제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오프라인 방문 발급을 권장


4. 가족 외 제3자의 발급 조건

대상자 발급 가능 여부
본인, 배우자, 직계존비속 무제한 발급 가능
형제·자매 이해관계 입증 서류 제출 시 가능
제3자 정당한 이해관계 증명 및 위임장 제출 필요

✅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무분별한 열람은 제한됨


5. 자주 묻는 질문 (FAQ)

Q. 온라인 발급이 안 되는 경우는?

→ 본인 인증 불가, 과거 기록 정정 중, 외국 국적 취득 등으로 전산기록 미연결 시 발급 불가

Q. 외국에 거주 중인데 발급받을 수 있나요?

→ 예. 대사관 또는 영사관을 통한 민원 신청 가능

Q. 유효기간은 얼마나 되나요?

→ 법적 유효기간은 없지만, 대부분 기관은 최근 3개월 이내 발급분 요구


6. 가족관계등록부 발급 요약표

항목 온라인 오프라인
발급 경로 efamily.scourt.go.kr 주민센터 방문
수수료 무료 (일부 유료) 1,000원 내외
필요 서류 공동인증서 신분증 (위임장)
발급 대상 본인 및 가족 본인 및 위임 받은 자

가족관계등록부는 법적 절차의 핵심 기초서류입니다.
기관 제출, 본인 증명, 각종 소송이나 행정 절차에서 필요하므로, 정확한 종류를 확인하고 발급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